L3 Switch와 Dynamic Routing Protocol을 이용하여
Topology를 구현해보는 것이 오늘의 핵심 키워드.
L3 Switch는 기본적으로 L2 Switch 기능을 하므로
ip routing 설정과
각 포트 (Interface)에 switchport 설정을 해주어야
기본적으로 L3 Switch로서 동작한다.
Dynamic Routing Protocol 중에서,
오늘은 RIPv1과 RIPv2를 배웠다.
RIPv1은 subnetting, 암호화 기능이 없다.
그리고 무조건 Broad Cast를 하기 때문에,
RIP packet이 필요없는 End device로도
packet이 전송되기 때문에 장비의 source를 낭비한다
그래서 요즘에는 RIPv1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은
목적지까지의 hop count가 낮은 경로를
우선순위로 선택하여 라우팅 한다.
만약 hop count가 동일한경우,
packet을 번갈아가면서 보낸다.
Load Balancing을 한다는 뜻이다.
본인이 알고있는 네트워크를
next hop에게 서로 알려줌으로써
routing 정보가 채워진다.
RIP pakcet은 30초마다 교환된다.
그래서 네트워크 규모가 큰 경우
routing table이 동기화 되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22일차 (0) | 2025.01.06 |
---|---|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9일차 (0) | 2025.01.06 |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7일차 (0) | 2025.01.01 |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6일차 (0) | 2025.01.01 |
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5일차 (0) | 2024.12.31 |